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질주 본능 100%, 일본 3색 스키여행

환상적인 설원 위 질주 쾌감일본 스키여행 떠나볼까?

 

11월 하순이면 눈이 쌓이는 일본 북 알프스나 홋카이도 스키장은 스키마니아들이 가장 즐겨 찾는 겨울철 여행 코스다. 내리기 시작하면 엄청난 적설량을 보이는데다 가볍고 뭉치지 않는 자연설이 최상의 컨디션을 제공하는 일본 3백 스키 여행지를 소개해 본다.

홋카이도 유바리 스키 리조트
겨울스키하면 홋카이도를 떠올린다. 엄청난 적설량과 극상의 설질 덕분이다. 홋카이도 신치토세 공항에서 약 1시간 거리에 위치한 유바리 스키 리조트는 중급 규모의 19개 코스를 갖춘 아름다운 스키장이다. 최장슬로프 거리는 3500m, 곤돌라 1, 리프트 4. 시즌 평균 적설량 180cm에 이른다. 전장 4000m의 와인딩 로드부터 최대경사 43도의 카빙 라인까지 다양한 코스가 갖춰져 있다. 자연 지형을 살린 스릴 라인은 와일드한 라이딩을 느끼게 해준다는 것이 유바리 스키 리조트의 특징이다. 매년 12월 초부터 다음해 4월까지 개장한다.

야마가타 자오온천스키장
야마가타 현의 자오 스키장은 일본 동북 지역에서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산 전체가 스키장이라고 할 만큼 슬로프가 많다. 26개 코스, 리프트 42기의 대규모 스키장에는 슬로프가 초급자, 중급자, 상급자용으로 적절하게 분배가 되어있다. 최대 활주거리는 9.2에 이르는데 정상에서 시작해 끝도 없이 펼쳐진 슬로프에 탄성이 절로 나온다. 로프웨이 3, 곤돌라 1, 3개의 고속체어리프트 및 35개의 다양한 리프트를 갖추고 있어 대기시간 제로. 환상적이다.

자오 스키장의 하이라이트는 바로 주변 전나무에 눈과 얼음이 달라붙으면서 만들어진 거대한 수빙이다. 거대한 얼음 덩어리 스노몬스터는 보통 1월부터 3월 중순 사이에 절정을 이룬다.

나가노 하쿠바스키리조트
나가노는 겨울 스포츠 메카로 유명하다. 해마다 겨울이면 연평균 3m의 적설량을 자랑한다. 나가노에서도 하쿠바 지역은 전국적인 규모의 초대형 스키장들이 모여 있어 겨울철 많은 여행객이 몰린다. 하쿠바 지역을 대표하는 스키장은 일본 스키의 성지로 불리는 핫포네와 광폭 슬로프의 대명사 쓰카이케, 이와다케 스키장 등이다. 고류 스키장과 하쿠바47 스키장은 최고 경관을 자랑하며 스릴 넘치는 활주를 경험할 수 있다. 11개의 스키장이 밀집해 있는 하쿠바에서는 스키장 간에 셔틀이 운영되어 다양한 슬로프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도 매력이다.

일본의 3색 매력이 넘치는 스키장 여행상품을 브라보재팬(www.bravojapan.com)에서 선보이고 있다. 홋카이도 유바리스키리조트 3, 바이킹 게요리 무제한 제공 상품이 499000원부터다. 자오 스키 4, 하몬드호텔 숙박 상품은 1031일까지 예약 시 선착순 200매 리프트권 무료이며, 항공료 포함 649000원부터다. 나가노 하구바스키 4, 공통 리프트권 증정 상품은 56만원부터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기자수첩] 자동차의 배터리 관계는?

배터리와 제너레이터의 용량이 자동차의 성능을 좌우한다 ?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배터리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고 있다 . 그래서 과연 자동차에서 배터리와 성능의 관계는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아보았다 . 자동차는 기계적 시스템 , 전기장치 , 신호 제어기술 등이 결합하여 연료와 공기의 제어를 통하여 발생하는 에너지를 바탕으로 엔진을 구동하게 된다 . 그래서 가솔린 차량의 경우 엔진과 연료에 문제가 없어도 전기적인 문제가 있으면 연료공급과 연소작용에 문제가 발생하여 자동차는 움직이지 못한다 .   먼저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자동차에서 배터리와 연비 및 출력이 무슨 관계가 있는지 잘 모른다 . 그래서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어도 완전히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았을 때에만 겨우 배터리를 교환하게 된다 . 그러나 배터리의 용량이 감소하면 지속적으로 충전하기 위해 제너레이터는 부하가 끊임없이 걸린다 . 이로 인해 결국은 자동차의 출력저하와 연비저하가 생기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 .   배터리는 보통 12V/50Ah 라는 형식의 규격으로 표시되는데 여기서 기본은 V( 볼트 ) 와 A( 암페어 ) 수치이다 . 특히 배터리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A( 암페어 ) 수치를 점검하는 것이다 . 그러나 보통 내차는 12V 가 나오는데 왜 배터리를 교환해야하는가 ? 라는 질문을 던진다 .   그 이유는 A( 암페어 ) 는 전류를 저장 할 수 있는 그릇의 크기다 . 배터리를 사용 할수록 전류를 저장 할 수 있는 그릇의 크기가 점차 줄어든다는 점이다 . 크기가 줄어든 만큼 제너레이터에 부하가 걸린다는 것이다 .   배터리 용량 표기는 V/Ah 로 하고 , 제너레이터 용량은 V/A 로 표기 한다 . 배터리 용량과 제너레이터 용량은 별개의 것이다 . 배터리 상단을 살펴보면 12V 50Ah(20HR) 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배터리에 12V 50A 의 전기...

[휠얼라인먼트 실전기술]- 주행 중 충격

휠얼라인먼트 고장원인 될 수 있다. 큰 충격이 자동차 바퀴에 가해져도 운전자는 그 충격 못 느낄 때가 많다. 자동차는 쇽 업소버와 스프링이 있어 노면으로부터 오는 충격은 여기서 흡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노면의 충격은 경우에 따라서, 정밀한 파워 스티어링의 내부나 복잡한 현가장치에 중대한 고장을 일으킬 때도 있다. 일반적으로 바퀴가 도로의 연석에 충돌하거나 도랑에 빠지고 난후 핸들의 센터가 변하거나 핸들이 쏠리는 이상이 발생할 때가 있다. 이런 경우 전문가에게 상담하여 현가나 주행 장치의 점검과 휠바란스나 휠 얼라인먼트의 점검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고장의 한 예로 연석에 부딪친 다음에 상태가 나빠진 자동차의 휠 얼라인먼트의 조정을 참고해 본다. 고속도로의 톨게이트에서 사소한 부주의로 오른쪽으로 접근하여 오른쪽 앞바퀴를 연석의 콘크리트에 부딪치게 되었다. 문제가 있다 생각이 되어 톨게이트를 빠져 나와 점검해 보았으나 휠에 상처가 난 정도였다. 이 정도라면 별 것 없다는 생각으로 5㎞ 정도 운전해 보고 묘한 것을 느끼게 되었다. 핸들에서 손을 놓으니까 약 50㎜ 정도 왼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핸들이 고정되어 그 위치에서 전진한다. 50㎜ 정도 왼쪽으로 기울어진 위치이므로 결과로서 자동차 전체가 왼쪽으로 흘러가기 때문에 항상 핸들을 오른쪽으로 틀면서 운전을 하므로 매우 피곤하다. 또 하나의 사례로 아침에만 핸들의 조작에 불안하다. 엔진이 냉각되어 있는 동안에는 오른쪽으로 핸들을 돌리며, 끌리는 기분이며 핸들이 무겁다는 것이다. 전에는 이 같은 증상이 없었기 때문에 불안하므로 점검해 달라는 것이었다. 고객과 기능 불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노상 시험을 해보았다. 엔진은 이미 뜨거워져 있으며 핸들의 조작에 관해서는 고객이 말하는 것과 같은 기능 불량은 없는 것 같은데 핸들이 왼쪽으로 쏠리는 것은 지적한 그대로였다. 시험을 위해 왼쪽 기울기의 도로...

[집중 분석] 자동차 흡기튜닝 Ⅵ

써지탱크 및 흡기매니폴드의 역할 이해   지난번에는 드로틀 바디의 튜닝과 관련하여 반드시 체크해야 할 기본적인 사항을 살펴봤다 . 이번에는 써지탱크와 흡기매니폴드의 기능과 튜닝 시 필요한 기초적인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자 .   서지 탱크 (Surge tank) 는 드로틀 바디를 지나 유입되는 공기를 1 차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이다 . 또한 흡입계통에서 대기로부터 실린더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발생하는 진공을 생성 및 저장하는 곳이다 . 서지탱크에 생성된 진공에 의해 차량의 여러 부품들이 작동이 된다 . 때문에 튜닝 시 엔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서지탱크의 기초적 튜닝은 내부를 포팅해서 공기흐름만 원활하게 하여도 충분하다 . 왜냐하면 출력에 비해 지나치게 큰 서지탱크는 진공도가 떨어져서 응답성에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 그리고 작은 서지탱크는 진공용량의 부족으로 전체 출력 저하와 부품들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   흡기 매니폴드 (intake manifold) 는 서지탱크에서 대기 중인 흡입공기를 각 실린더에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 여기서 중한 점은 흡입 공기의 저항을 줄여 각 실린더에 고른 분배 및 유도하는 것이다 . 흡기매니폴드는 형상이나 길이 내경 등에 의해 엔진의 성격이 달라진다 . 흡기매니폴드가 짧으면 고 RPM, 길면 저 RPM 에서 토크가 최상의 성능을 나타낸다 . 양산차의 매니폴드 길이는 중저속부터 토크가 발휘되도록 셋팅되어 있다 . 최근에는 가변흡기매니폴드 (Variable intake manifold) 를 장착한 차량이 출시되고 있다 . 이것은 중속과 고속영역까지 매니폴드의 흡입통로 길이를 조절하여 엔진 성능을 각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흡기 매니폴드를 만드는 소재는 보통 알루미늄 또는 주철로 만들지만 최근 복합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 그리고 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