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국내차 5社, 9월 판매실적 감소

추석연휴 등 근무일수 감소로 인한 내수 및 수출 감소

국내차 5는 지난달 내수 11130, 수출 568608대 총 678738대를 판매했다.

지난 9월은 전반적으로 내수와 수출이 호조세였으나, 추석연휴로 인한 근무일수가 줄어들어 실적감소로 이어졌다. 인기모델은 여전히 SUV가 차지했으나 경차인 모닝과 스파크가 지난달 많이 판매됐으며,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모델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 달 국내 52494, 해외 332339대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6.6% 감소한 총 384833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기간과 비교해 국내 판매는 12.1%, 해외 판매는 5.7%가 각각 감소했다.

다만, 1월부터 9월까지의 누계 실적을 살펴보면 국내 시장은 525824, 해외 시장은 2834289대가 팔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 2.9% 증가했다.

모델별 국내 판매량을 살펴보면 그랜저 7510(하이브리드 1946대 포함)로 가장 많았으며, 아반떼 5488, 쏘나타 4396(하이브리드 249대 포함), 싼타페 8326, 코나 3816(EV모델 1382대 포함), 투싼 3704, 맥스크루즈 55대 등이 판매됐다. 특히 EV 모델인 코나 일렉트릭은 5월 본격 판매를 시작한 이후 월 최다 판매를 기록했다.

제네시스 브랜드는 G80 2767, G70 1024, EQ900 328대가 판매됐고, 상용차에서 더 뉴 그랜드 스타렉스와 포터를 합한 소형 상용차가 총 11750, 중대형 버스와 트럭을 합한 대형 상용차는 1803대가 팔렸다.

해외 시장 판매도 추석 명절 연휴로 인한 근무일수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 감소한 332339대를 판매했다.

현대차는 남은 기간에도 신차 및 주력 차종을 중심으로 모든 판매 역량을 결집시켜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을 극복하고 올해 판매 목표 달성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기아차는 9월 국내 35800, 해외 197908대 등 세계 시장에 총 233708대를 판매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 판매는 25.4%, 해외 판매는 1.9%가 각각 감소했다.

지난달 국내 판매량은 모닝 3829대로 가장 많이 팔렸으며, K5 3310, K7 2996, K3 2382, 카니발 5760, 쏘렌토 3943, 스포티지 3047대가 판매됐으며, 니로 EV 1066대가 팔려 기아차 최초로 전기차 월간 판매량 1000대를 넘어섰다.

해외 시장 판매는 스포티지가 전년 동기 대비 15.2% 증가한 41459대로 해외 최다 판매 모델로 이름을 올렸고 프라이드(리오)25077, K3(포르테) 23299대로 뒤를 이었다.

기아차는 신형 K3를 비롯해 본격적인 해외 판매가 예정돼 있는 니로 EV, K9 등에 대한 성공적 론칭을 통해 해외 판매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

쌍용차는 지난 9월 전년 동월 대비 18% 감소한 내수 7689, 수출 3110(CKD 포함)를 포함 총 1799대를 판매했다.

내수 판매가 영업일수 감소로 인해 전년 동월 대비 18.8% 감소했으나, 일 평균 판매대수는 450대에서 480대로 증가해 약 6.7% 증가했다. 이는 지난 달 17일부터 시행중인 주간연속 2교대제 개편(8+8)에 따른 추가 생산수요 탄력성 확보를 통해 렉스턴브랜드의 공급이 증가한 결과로 보인다.

렉스턴 스포츠 등 신규 라인업 투입을 본격화 하고 있는 수출도 전년 동월대비로는 16% 감소했지만 전월 대비로는 31.4%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쌍용차는 다음 달부터 렉스턴 스포츠의 해외 론칭을 칠레, 에콰도르 등 중남미 지역까지 확대해 나감으로써 이러한 회복세를 계속 지켜 나갈 계획이다.

르노삼성차도 9월 추석연휴로 인한 영업일수 감소로 전년동기 대비 44.3% 감소한 내수 6713, 수출 7869대를 포함한 총 14582대 판매했다.

지난 달 내수판매는 QM6 2526, SM6 1727, SM3 414, 르노 클리오 304대 등이 판매됐다. 특히 QM6는 지난달 국내 최초로 국내 중형 가솔린 SUV 2만대 판매 돌파라는 대기록을 세우며 가솔린 SUV를 국내 시장에 안착시킨 모델이다.

수출은 연휴기간 조업일수 감소와 더불어 수출 차량들의 연식변경에 따른 일시적인 생산량 조정으로 닛산 로그와 QM6(수출명 꼴레오스)가 각각 6329, 1525대가 선적됐다. 조업일수와 생산량이 회복되는 이달부터는 전년 동월 수준으로 선적 예정이다.

한국 GM은 지난 달 내수 7434, 수출 27382대로 총 34816대를 판매했다. 점차 내수시장에서 고객들의 구매가 살아나면서 감소폭이 점차 줄어들어 예년의 판매량을 회복하는 중이다. 그러나 국내 소비자의 호평을 바라며 출시한 이쿼녹스가 의외의 판매량 저조로 국내 소비자들에 대한 마케팅의 전면 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내수 시장에서 쉐보레 스파크는 3158대가 판매되며 월 3000대 이상의 판매고를 유지했으며, 연간 내수 누적판매 1만대를 돌파한 말리부는 2290대를 판매했다. 또한 레드라인 스페셜 에디션을 내놓고 젊은 소형 SUV 고객을 공략한 트랙스는 1043대가 출고되며 SUV 제품 라인업의 판매량을 이끌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기자수첩] 자동차의 배터리 관계는?

배터리와 제너레이터의 용량이 자동차의 성능을 좌우한다 ?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배터리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고 있다 . 그래서 과연 자동차에서 배터리와 성능의 관계는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아보았다 . 자동차는 기계적 시스템 , 전기장치 , 신호 제어기술 등이 결합하여 연료와 공기의 제어를 통하여 발생하는 에너지를 바탕으로 엔진을 구동하게 된다 . 그래서 가솔린 차량의 경우 엔진과 연료에 문제가 없어도 전기적인 문제가 있으면 연료공급과 연소작용에 문제가 발생하여 자동차는 움직이지 못한다 .   먼저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자동차에서 배터리와 연비 및 출력이 무슨 관계가 있는지 잘 모른다 . 그래서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어도 완전히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았을 때에만 겨우 배터리를 교환하게 된다 . 그러나 배터리의 용량이 감소하면 지속적으로 충전하기 위해 제너레이터는 부하가 끊임없이 걸린다 . 이로 인해 결국은 자동차의 출력저하와 연비저하가 생기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 .   배터리는 보통 12V/50Ah 라는 형식의 규격으로 표시되는데 여기서 기본은 V( 볼트 ) 와 A( 암페어 ) 수치이다 . 특히 배터리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A( 암페어 ) 수치를 점검하는 것이다 . 그러나 보통 내차는 12V 가 나오는데 왜 배터리를 교환해야하는가 ? 라는 질문을 던진다 .   그 이유는 A( 암페어 ) 는 전류를 저장 할 수 있는 그릇의 크기다 . 배터리를 사용 할수록 전류를 저장 할 수 있는 그릇의 크기가 점차 줄어든다는 점이다 . 크기가 줄어든 만큼 제너레이터에 부하가 걸린다는 것이다 .   배터리 용량 표기는 V/Ah 로 하고 , 제너레이터 용량은 V/A 로 표기 한다 . 배터리 용량과 제너레이터 용량은 별개의 것이다 . 배터리 상단을 살펴보면 12V 50Ah(20HR) 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배터리에 12V 50A 의 전기...

[휠얼라인먼트 실전기술]- 주행 중 충격

휠얼라인먼트 고장원인 될 수 있다. 큰 충격이 자동차 바퀴에 가해져도 운전자는 그 충격 못 느낄 때가 많다. 자동차는 쇽 업소버와 스프링이 있어 노면으로부터 오는 충격은 여기서 흡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노면의 충격은 경우에 따라서, 정밀한 파워 스티어링의 내부나 복잡한 현가장치에 중대한 고장을 일으킬 때도 있다. 일반적으로 바퀴가 도로의 연석에 충돌하거나 도랑에 빠지고 난후 핸들의 센터가 변하거나 핸들이 쏠리는 이상이 발생할 때가 있다. 이런 경우 전문가에게 상담하여 현가나 주행 장치의 점검과 휠바란스나 휠 얼라인먼트의 점검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고장의 한 예로 연석에 부딪친 다음에 상태가 나빠진 자동차의 휠 얼라인먼트의 조정을 참고해 본다. 고속도로의 톨게이트에서 사소한 부주의로 오른쪽으로 접근하여 오른쪽 앞바퀴를 연석의 콘크리트에 부딪치게 되었다. 문제가 있다 생각이 되어 톨게이트를 빠져 나와 점검해 보았으나 휠에 상처가 난 정도였다. 이 정도라면 별 것 없다는 생각으로 5㎞ 정도 운전해 보고 묘한 것을 느끼게 되었다. 핸들에서 손을 놓으니까 약 50㎜ 정도 왼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핸들이 고정되어 그 위치에서 전진한다. 50㎜ 정도 왼쪽으로 기울어진 위치이므로 결과로서 자동차 전체가 왼쪽으로 흘러가기 때문에 항상 핸들을 오른쪽으로 틀면서 운전을 하므로 매우 피곤하다. 또 하나의 사례로 아침에만 핸들의 조작에 불안하다. 엔진이 냉각되어 있는 동안에는 오른쪽으로 핸들을 돌리며, 끌리는 기분이며 핸들이 무겁다는 것이다. 전에는 이 같은 증상이 없었기 때문에 불안하므로 점검해 달라는 것이었다. 고객과 기능 불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노상 시험을 해보았다. 엔진은 이미 뜨거워져 있으며 핸들의 조작에 관해서는 고객이 말하는 것과 같은 기능 불량은 없는 것 같은데 핸들이 왼쪽으로 쏠리는 것은 지적한 그대로였다. 시험을 위해 왼쪽 기울기의 도로...

[집중 분석] 자동차 흡기튜닝 Ⅵ

써지탱크 및 흡기매니폴드의 역할 이해   지난번에는 드로틀 바디의 튜닝과 관련하여 반드시 체크해야 할 기본적인 사항을 살펴봤다 . 이번에는 써지탱크와 흡기매니폴드의 기능과 튜닝 시 필요한 기초적인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자 .   서지 탱크 (Surge tank) 는 드로틀 바디를 지나 유입되는 공기를 1 차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이다 . 또한 흡입계통에서 대기로부터 실린더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발생하는 진공을 생성 및 저장하는 곳이다 . 서지탱크에 생성된 진공에 의해 차량의 여러 부품들이 작동이 된다 . 때문에 튜닝 시 엔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서지탱크의 기초적 튜닝은 내부를 포팅해서 공기흐름만 원활하게 하여도 충분하다 . 왜냐하면 출력에 비해 지나치게 큰 서지탱크는 진공도가 떨어져서 응답성에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 그리고 작은 서지탱크는 진공용량의 부족으로 전체 출력 저하와 부품들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   흡기 매니폴드 (intake manifold) 는 서지탱크에서 대기 중인 흡입공기를 각 실린더에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 여기서 중한 점은 흡입 공기의 저항을 줄여 각 실린더에 고른 분배 및 유도하는 것이다 . 흡기매니폴드는 형상이나 길이 내경 등에 의해 엔진의 성격이 달라진다 . 흡기매니폴드가 짧으면 고 RPM, 길면 저 RPM 에서 토크가 최상의 성능을 나타낸다 . 양산차의 매니폴드 길이는 중저속부터 토크가 발휘되도록 셋팅되어 있다 . 최근에는 가변흡기매니폴드 (Variable intake manifold) 를 장착한 차량이 출시되고 있다 . 이것은 중속과 고속영역까지 매니폴드의 흡입통로 길이를 조절하여 엔진 성능을 각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흡기 매니폴드를 만드는 소재는 보통 알루미늄 또는 주철로 만들지만 최근 복합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 그리고 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