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집중 분석] 자동차 흡기튜닝 Ⅲ

흡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센서의 역할 이해하기
 

지난 호에서는 흡기시스템의 각 부품 중 에어클리너와 공기흡입구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지금부터는 인테이크 파이프로 이동하는 공기의 흡입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흡입 소음 및 진동 억제를 위한 레조네이터(resonator)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먼저 레조네이터는 공기를 흡입할 때 발생하는 흡입력이 높아질수록 소음과 진동이 생긴다. 그리고 흡기소음은 엔진 회전수에 따라 다른 주파수(진동) 특성을 나타낸다. 이때 소음과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레조네이터이다. 그리고 자동차가 고속으로 운행하다보면, 특히 터보의 경우 공기 흐름이 역행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현상을 맥동저항이라고 하는데 이 역류현상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와류현상을 이용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여 이 맥동현상을 제어하기도 한다.

양산차가 전자제어 엔진으로 변경되면서부터 연비 상승을 위해 이전에 없던 구조물을 장착했는데, 레조네이터도 그 구조물 중 하나이다. 물론 소음 진동의 억제와 맥동저항 감소로 인한 가속페달의 반응이 좋아지는 점도 있다. 그러나 반대로 공기 흡입효율의 저하와 엔진 구동 시 일부 구간에 부하가 걸리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흡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소음과 진동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오픈형 에어클리너를 설치하는데 이때 레조네이터를 제거하는 경우가 있다.

에어클리너에서 인테이크 파이프를 지나 연소실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AFS(Air Flow Sensor)라고 통칭해서 부른다. 가솔린 기관에서 AFS는 완전연소를 위해서 흡입되는 공기량과 연동하여 연료의 분사량과 분사기간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젤 기관도 물론 가솔린기관과 동일하나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의 피드백 컨트롤을 위해 사용된다는 점이 차이가 있다.

그럼 최근 차량에 많이 사용되는 AFS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아보자.
(MAP : Manifold Absoulte Pressure)센서는 서지탱크 내의 압력을 측정해 흡입 공기량을 간접 측정하는 방식이다. 단점은 정밀도가 낮은 편이다. 장점은 가격이 저렴하고 고장이 잘 나지 않아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맵 센서는 AFS의 기능 외에 대기압센서와 크랭킹 확인 신호로서 활용하고 있다.

MAF(Mass Air Flow) 센서는 직접측정 방식의 AFS 이다. AFS의 종류에는 핫 필름(Hot Film)과 핫 와이어(Hot wire) 방식이 있다. 최근 출고되는 차량에는 내구성이 좋은 핫 필름 방식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핫 필름 방식은 공기가 흐르는 통로 중앙에 필름에 열을 가해 놓고 순간 흡입되는 공기량에 의해 식으면 저항이 바뀌는 것을 측정하여 흡입 공기량을 측정한다. 이 방식에서는 흡입공기량에 대한 온도 보상이 이루어져 흡기온(IAT : Intake Air Temperature)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흡입 공기 맥동을 감지하거나 좀 더 정밀한 공기 유량 측정이 필요한 엔진에서는 흡기온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장점으로 응답성이 뛰어나지만 단점으로 맵 센서에 비해 진동이나 열, 맥동에 민감하다.

AFS는 흡입되는 공기량을 바탕으로 ECU가 인젝터에게 언제 얼만큼의 연료를 분사하라고 하는 명령을 내리는데 중요한 지표 역활을 하는 센서이다.

이상으로 레조네이터와 AFS에 대하여 살펴봤습니다. 다음에는 인테이크 파이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손진석 기자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기자수첩] 자동차의 배터리 관계는?

배터리와 제너레이터의 용량이 자동차의 성능을 좌우한다 ?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배터리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고 있다 . 그래서 과연 자동차에서 배터리와 성능의 관계는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아보았다 . 자동차는 기계적 시스템 , 전기장치 , 신호 제어기술 등이 결합하여 연료와 공기의 제어를 통하여 발생하는 에너지를 바탕으로 엔진을 구동하게 된다 . 그래서 가솔린 차량의 경우 엔진과 연료에 문제가 없어도 전기적인 문제가 있으면 연료공급과 연소작용에 문제가 발생하여 자동차는 움직이지 못한다 .   먼저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자동차에서 배터리와 연비 및 출력이 무슨 관계가 있는지 잘 모른다 . 그래서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어도 완전히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았을 때에만 겨우 배터리를 교환하게 된다 . 그러나 배터리의 용량이 감소하면 지속적으로 충전하기 위해 제너레이터는 부하가 끊임없이 걸린다 . 이로 인해 결국은 자동차의 출력저하와 연비저하가 생기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 .   배터리는 보통 12V/50Ah 라는 형식의 규격으로 표시되는데 여기서 기본은 V( 볼트 ) 와 A( 암페어 ) 수치이다 . 특히 배터리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A( 암페어 ) 수치를 점검하는 것이다 . 그러나 보통 내차는 12V 가 나오는데 왜 배터리를 교환해야하는가 ? 라는 질문을 던진다 .   그 이유는 A( 암페어 ) 는 전류를 저장 할 수 있는 그릇의 크기다 . 배터리를 사용 할수록 전류를 저장 할 수 있는 그릇의 크기가 점차 줄어든다는 점이다 . 크기가 줄어든 만큼 제너레이터에 부하가 걸린다는 것이다 .   배터리 용량 표기는 V/Ah 로 하고 , 제너레이터 용량은 V/A 로 표기 한다 . 배터리 용량과 제너레이터 용량은 별개의 것이다 . 배터리 상단을 살펴보면 12V 50Ah(20HR) 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배터리에 12V 50A 의 전기...

경기도에서 즐기는 온천 & 맛 기행

일상에서 지친 몸과 마음을 풀어주는 주말 여행지는 없을까 ? 더욱이 설 연휴를 지내며 쌓인 피로를 풀어줄 휴식같은 여행이 필요한 지금 바로 온천과 스파를 즐기기 딱 좋은 시기다 .   경기도 내에는 수질이 좋고 무기질 함유량이 많은 천연 온천수가 솟아나는 온천이 생각보다 많다 . 또한 온천욕 뒤에 맛깔나는 음식으로 입이 즐거운 맛 기행도 가능해 1 석 2 조의 여행이 가능하다 . 이번 주말 뜨끈한 물과 다른 사람이 차려주는 밥을 먹으러 온가족 나들이를 떠나보자 .    포천의 대표 온천인 신북리조트는 지하 600m에서 솟아나는 중탄산나트륨천으로 맑고 깨끗하며 유황온천수와는 달리 냄새가 없으며, 물이 부드러운 온천수다.   ◆ 포천의 온천 , 포천의 별미 ' 신북리조트 & 버섯전골 ’ 포천의 대표 온천인 신북리조트는 지하 600m 에서 솟아나는 중탄산나트륨천으로 맑고 깨끗하며 유황온천수와는 달리 냄새가 없으며 , 물이 부드러운 온천수다 . 30~34°C 의 적정한 수온을 유지하는 온천수는 몸의 긴장과 피로는 물론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준다 .   이곳은 온천과 워터파크는 물론 찜질방까지 이용할 수 있는 패밀리형 온천테마파크다 . 모든 시설을 1 만원도 안 되는 저렴한 가격에 즐길 수 있어 더욱 매력적이다 . 온천과 물놀이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바데풀 또한 인기다 . 독일의 바데하우스를 모델로 만들어진 대형 실내풀에는 전신마사지를 할 수 있는 워터풀 , 그리고 목과 어깨 근육을 풀어주는 넥샤워와 기포욕 등이 설치되어 있다 .     온천을 즐긴 후에는 포천의 특산물인 버섯을 이용한 버섯전골이 제격이다. 온천 인근에는 맛집으로 유명한 산비탈, 청산명가, 이슬비가든 등이 유명하다. <사진 산비탈의 두부버섯 전골>   온천을 즐긴 후에는 포천의 특산물인 버섯을 이용한 버섯전골이 제격이다...

[집중 분석] 자동차 흡기튜닝 Ⅵ

써지탱크 및 흡기매니폴드의 역할 이해   지난번에는 드로틀 바디의 튜닝과 관련하여 반드시 체크해야 할 기본적인 사항을 살펴봤다 . 이번에는 써지탱크와 흡기매니폴드의 기능과 튜닝 시 필요한 기초적인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자 .   서지 탱크 (Surge tank) 는 드로틀 바디를 지나 유입되는 공기를 1 차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이다 . 또한 흡입계통에서 대기로부터 실린더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발생하는 진공을 생성 및 저장하는 곳이다 . 서지탱크에 생성된 진공에 의해 차량의 여러 부품들이 작동이 된다 . 때문에 튜닝 시 엔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서지탱크의 기초적 튜닝은 내부를 포팅해서 공기흐름만 원활하게 하여도 충분하다 . 왜냐하면 출력에 비해 지나치게 큰 서지탱크는 진공도가 떨어져서 응답성에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 그리고 작은 서지탱크는 진공용량의 부족으로 전체 출력 저하와 부품들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   흡기 매니폴드 (intake manifold) 는 서지탱크에서 대기 중인 흡입공기를 각 실린더에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 여기서 중한 점은 흡입 공기의 저항을 줄여 각 실린더에 고른 분배 및 유도하는 것이다 . 흡기매니폴드는 형상이나 길이 내경 등에 의해 엔진의 성격이 달라진다 . 흡기매니폴드가 짧으면 고 RPM, 길면 저 RPM 에서 토크가 최상의 성능을 나타낸다 . 양산차의 매니폴드 길이는 중저속부터 토크가 발휘되도록 셋팅되어 있다 . 최근에는 가변흡기매니폴드 (Variable intake manifold) 를 장착한 차량이 출시되고 있다 . 이것은 중속과 고속영역까지 매니폴드의 흡입통로 길이를 조절하여 엔진 성능을 각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흡기 매니폴드를 만드는 소재는 보통 알루미늄 또는 주철로 만들지만 최근 복합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 그리고 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