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국내차 5社, 2018년 12월 내수판매 실적

12월 내수 138924, 해외 587952대로 총 726876대 판매
 
작년 하반기는 자동차 수요 둔화 및 경쟁심화 등의 부정적 요인으로 인해 신차판매를 위한 강력한 모멘텀이 필요한 시기였다. 이에 정부에서는 개별소비세 인하 카드와 코리아 세일 페스타 등의 이벤트를 통해 내수 시장 진작을 위해 노력했으나 내수 및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대비 2.1% 감소한 기록을 냈다.
 
우리 자동차 산업은 2011466만대에 달하던 국내 생산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작년 12월 말 기준에는 402만여대에 그치며, 국내 자동차 생산은 3년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작년 한 해 동안 하락세를 기록하게 된 원인으로는 내수 판매 부진, 대외 무역환경 불안으로 수출 감소, 한국GM의 군산공장 폐쇄, 기아차의 통상임금 소송 패소로 인한 잔업 및 특근 중단으로 10만대 이상의 생산 손실 등이 주요인이다.
 
지난 12월 국내차 5는 내수 138924, 해외 587952대로 총 726876대를 판매했다.
 
현대차는 12월 내수 64835, 수출 345491대를 판매해 총 4132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월 대비 1.7% 증가했고, 전년동기대비 0.4% 증가한 기록이다. 2018년 한 해 동안 국내 721078, 해외 3865697대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총 4586775대를 판매했다.
 
국내시장에서 그랜저가 국내 판매를 이끌었으며, 아반떼, 쏘나타, 아이오닉이, 싼타페, 코나, 투싼이 많은 판매고를 올렸다. 특히, 지난해 현대자동차의 국내 시장 판매는 전동화 모델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하이브리드 모델 판매는 2017년 동기 대비 14.4% 증가한 총 32510, 전기차 모델은 2017년과 비교해 두 배 이상 증가한 16799대가 팔렸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 G70, G90(EQ900 포함) 등이 점차 소비자들에게 어필하며 프리미엄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잡아가고 있다.
 
해외시장 판매의 경우 작년 세계 자동차 시장이 0.2%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되는 녹록하지 않은 시장 상황에도 불구하고 중남미 시장을 비롯한 신흥 시장 판매 호조와 러시아 시장의 판매 회복 등의 영향으로 소폭 증가했다.
 
차종별로는 아반떼가 전세계 시장에서 699018대의 판매고를 올리며 최다 판매 차종에 올랐으며, 이어 투싼 577712, 싼타페 283035, 코나 239430대 등이 전 세계 시장에서 현대차 판매를 견인했다.
 
기아차는 작년 12월 내수 42200대로 전월대비 13.3% 감소, 수출 198999대로 전월대비 0.4% 증가해 총 241199대를 판매하며 전월대비 2.3% 감소했으나 전년동월대비 6.3% 증가했다. 2018년 한 해 동안 국내 531700, 해외 228500대 등 전년 대비 2.4% 증가한 2812200대를 판매했다.
 
이는 2015년 이후 3년만에 플러스(+) 성장률을 기록한 것이며 전년 대비 국내 판매는 1.9%, 해외 판매는 2.5% 증가했다.
 
2018년 기아차 차종별 글로벌 판매는 스포티지가 501367대로 가장 많이 팔렸으며 리오(프라이드)355852, K3(포르테)328504대로 뒤를 이었다.
 
기아차는 지난해 내수에서 2017년 대비 1.9% 증가한 531700대를 판매했다. 승용 모델은 모닝이 가장 많이 팔렸으며, K5, K3, K7, K9 순서로 판매가 많이 됐다. 특히 K920121세대 출시 이후 처음으로 연간 판매량 1만대를 돌파했다.
 
RV 모델은 카니발, 쏘렌토가 내수시장에서 여전한 인기를 얻었고, 상용 모델은 봉고가 경쟁자 없이 독보적인 위치를 고수했다.
 
12월 해외시장에서는 니로(HEV, PHEV, EV)가 전년 대비 53.9% 증가한 8427대 팔리며 기아차 친환경 차량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있으며 스포티지는 41350대가 팔리며 단일 모델 최다 판매를 기록했다.
 
기아차의 2018년 해외판매는 전년 대비 2.5% 증가한 228500대를 기록했다. 차종별로는 스포티지가 전년 대비 12.1% 증가했으며, 리오(프라이드), K3(포르테)가 뒤를 이었다. 특히 스팅어는 3만여대가 판매되며 기아차 브랜드 인지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쌍용차는 12월 내수 1656, 해외 3809대를 판매해 총 14465대를 판매하며, 전월대비 9.8%, 전년동월대비 1.8% 증가한 월 최대 판매 기록을 갱신했다.
 
쌍용차는 지난 2018년 내수 109140, 수출 34169(CKD 포함)를 포함 총 143309대를 판매했다. 이러한 실적은 국내 자동차산업의 판매 부진 상황에서도 티볼리 브랜드의 선전과 렉스턴 스포츠의 성공적인 론칭으로 내수판매가 9년 연속 성장세를 기록하면서 전년도 판매수준을 유지한 실적이다.
 
특히 내수는 지난해 출시된 렉스턴 스포츠가 국내에서만 42000대가 넘는 실적을 올리며 역대 스포츠 브랜드 중 출시 첫해 최대 실적을 기록하면서 지난 2003년 이후 15년만에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또한 티볼리 브랜드도 B세그먼트 SUV시장에서 탄탄한 경쟁력을 유지하며 43000대의 실적을 기록함으로써 내수 판매는 9년 연속 성장세를 달성하며 지난 2003년 이후 15년만에 업계 3위로 올라섰다.
 
수출은 호주 법인 신설과 함께 렉스턴 스포츠에 대한 글로벌 론칭 확대 등 신흥시장 공략을 가속화 하고 있지만 전반적인 글로벌 시장 침체 영향으로 전년 대비 7.7% 감소했다. 다만, 지난해 11월 인도시장에 공식 론칭한 G4 렉스턴(현지명 알투라스 G4)이 올해의 프리미엄 SUV로 선정되는 등 호평이 이어지고 있고 렉스턴 스포츠 라인업도 확대되는 만큼 수출 실적도 점차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르노삼성차는 지난해 12월 내수 1805, 수출 7657개를 판매하며 총 18462대를 기록했다. 내수는 전월대비 28.5% 증가했으나, 이란 수출 제한 등의 원인으로 수출이 전월대비 24.9%가 감소했다. 2018년 한 해 동안은 내수 9369, 수출 137208대로 총 227577대를 판매했다.
 
국내 내수 시장 침체 여파로 르노삼성차의 2018년 연간 총 내수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10.1% 감소했으나, 지난 12월 내수 판매는 전 차종에 대한 파격적인 판매조건 외에도 QM6SM6 등 인기 차량에 대한 집중적인 혜택 이벤트가 더해져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했다.
르노 브랜드 차량인 클리오는 지난달 246, 마스터는 70, 트위지는 87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2분기 처음 국내에 소개된 클리오는 지난달까지 총 3652대의 판매했다.
 
지난해 9월 국내 출시한 중형상용차 르노 마스터는 작업 편의성과 효율성을 무기로 국내 상용차 시장에 진출해 경쟁 중이며, 트위지는 국내 생산 유치에 성공하며 르노삼성차의 지속 성장 기반 구축뿐만 아니라 국내 자동차 산업에 의미 깊은 성과를 남겼다.
 
한국GM12월 내수 1428, 해외 31996대를 판매하며 총 42424대를 기록했으며, 2018년 한 해 동안 내수 93317, 수출 369554대로 총 462871대를 판매했다.
 
그동안 국내 소비자들의 신뢰회복을 위해 노력한 결과로 전월대비 내수가 25.7% 증가했으며, 수출은 어려운 글로벌 여건 속에서도 전월대비 5.5% 성장했다. 이로서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며, 그동안의 노력이 결실을 보고 있다.
 
쉐보레는 작년 내부 인적 쇄신을 거치며 국내시장에 대해 내부적인 변화의 조짐이 보였다. 이에 새해부터 주요 제품의 판매 가격을 새롭게 포지셔닝하고 판매를 시작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기자수첩] 자동차의 배터리 관계는?

배터리와 제너레이터의 용량이 자동차의 성능을 좌우한다 ?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배터리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고 있다 . 그래서 과연 자동차에서 배터리와 성능의 관계는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아보았다 . 자동차는 기계적 시스템 , 전기장치 , 신호 제어기술 등이 결합하여 연료와 공기의 제어를 통하여 발생하는 에너지를 바탕으로 엔진을 구동하게 된다 . 그래서 가솔린 차량의 경우 엔진과 연료에 문제가 없어도 전기적인 문제가 있으면 연료공급과 연소작용에 문제가 발생하여 자동차는 움직이지 못한다 .   먼저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자동차에서 배터리와 연비 및 출력이 무슨 관계가 있는지 잘 모른다 . 그래서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어도 완전히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았을 때에만 겨우 배터리를 교환하게 된다 . 그러나 배터리의 용량이 감소하면 지속적으로 충전하기 위해 제너레이터는 부하가 끊임없이 걸린다 . 이로 인해 결국은 자동차의 출력저하와 연비저하가 생기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 .   배터리는 보통 12V/50Ah 라는 형식의 규격으로 표시되는데 여기서 기본은 V( 볼트 ) 와 A( 암페어 ) 수치이다 . 특히 배터리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A( 암페어 ) 수치를 점검하는 것이다 . 그러나 보통 내차는 12V 가 나오는데 왜 배터리를 교환해야하는가 ? 라는 질문을 던진다 .   그 이유는 A( 암페어 ) 는 전류를 저장 할 수 있는 그릇의 크기다 . 배터리를 사용 할수록 전류를 저장 할 수 있는 그릇의 크기가 점차 줄어든다는 점이다 . 크기가 줄어든 만큼 제너레이터에 부하가 걸린다는 것이다 .   배터리 용량 표기는 V/Ah 로 하고 , 제너레이터 용량은 V/A 로 표기 한다 . 배터리 용량과 제너레이터 용량은 별개의 것이다 . 배터리 상단을 살펴보면 12V 50Ah(20HR) 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배터리에 12V 50A 의 전기...

[휠얼라인먼트 실전기술]- 주행 중 충격

휠얼라인먼트 고장원인 될 수 있다. 큰 충격이 자동차 바퀴에 가해져도 운전자는 그 충격 못 느낄 때가 많다. 자동차는 쇽 업소버와 스프링이 있어 노면으로부터 오는 충격은 여기서 흡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노면의 충격은 경우에 따라서, 정밀한 파워 스티어링의 내부나 복잡한 현가장치에 중대한 고장을 일으킬 때도 있다. 일반적으로 바퀴가 도로의 연석에 충돌하거나 도랑에 빠지고 난후 핸들의 센터가 변하거나 핸들이 쏠리는 이상이 발생할 때가 있다. 이런 경우 전문가에게 상담하여 현가나 주행 장치의 점검과 휠바란스나 휠 얼라인먼트의 점검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고장의 한 예로 연석에 부딪친 다음에 상태가 나빠진 자동차의 휠 얼라인먼트의 조정을 참고해 본다. 고속도로의 톨게이트에서 사소한 부주의로 오른쪽으로 접근하여 오른쪽 앞바퀴를 연석의 콘크리트에 부딪치게 되었다. 문제가 있다 생각이 되어 톨게이트를 빠져 나와 점검해 보았으나 휠에 상처가 난 정도였다. 이 정도라면 별 것 없다는 생각으로 5㎞ 정도 운전해 보고 묘한 것을 느끼게 되었다. 핸들에서 손을 놓으니까 약 50㎜ 정도 왼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핸들이 고정되어 그 위치에서 전진한다. 50㎜ 정도 왼쪽으로 기울어진 위치이므로 결과로서 자동차 전체가 왼쪽으로 흘러가기 때문에 항상 핸들을 오른쪽으로 틀면서 운전을 하므로 매우 피곤하다. 또 하나의 사례로 아침에만 핸들의 조작에 불안하다. 엔진이 냉각되어 있는 동안에는 오른쪽으로 핸들을 돌리며, 끌리는 기분이며 핸들이 무겁다는 것이다. 전에는 이 같은 증상이 없었기 때문에 불안하므로 점검해 달라는 것이었다. 고객과 기능 불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노상 시험을 해보았다. 엔진은 이미 뜨거워져 있으며 핸들의 조작에 관해서는 고객이 말하는 것과 같은 기능 불량은 없는 것 같은데 핸들이 왼쪽으로 쏠리는 것은 지적한 그대로였다. 시험을 위해 왼쪽 기울기의 도로...

[집중 분석] 자동차 흡기튜닝 Ⅵ

써지탱크 및 흡기매니폴드의 역할 이해   지난번에는 드로틀 바디의 튜닝과 관련하여 반드시 체크해야 할 기본적인 사항을 살펴봤다 . 이번에는 써지탱크와 흡기매니폴드의 기능과 튜닝 시 필요한 기초적인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자 .   서지 탱크 (Surge tank) 는 드로틀 바디를 지나 유입되는 공기를 1 차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이다 . 또한 흡입계통에서 대기로부터 실린더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발생하는 진공을 생성 및 저장하는 곳이다 . 서지탱크에 생성된 진공에 의해 차량의 여러 부품들이 작동이 된다 . 때문에 튜닝 시 엔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서지탱크의 기초적 튜닝은 내부를 포팅해서 공기흐름만 원활하게 하여도 충분하다 . 왜냐하면 출력에 비해 지나치게 큰 서지탱크는 진공도가 떨어져서 응답성에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 그리고 작은 서지탱크는 진공용량의 부족으로 전체 출력 저하와 부품들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   흡기 매니폴드 (intake manifold) 는 서지탱크에서 대기 중인 흡입공기를 각 실린더에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 여기서 중한 점은 흡입 공기의 저항을 줄여 각 실린더에 고른 분배 및 유도하는 것이다 . 흡기매니폴드는 형상이나 길이 내경 등에 의해 엔진의 성격이 달라진다 . 흡기매니폴드가 짧으면 고 RPM, 길면 저 RPM 에서 토크가 최상의 성능을 나타낸다 . 양산차의 매니폴드 길이는 중저속부터 토크가 발휘되도록 셋팅되어 있다 . 최근에는 가변흡기매니폴드 (Variable intake manifold) 를 장착한 차량이 출시되고 있다 . 이것은 중속과 고속영역까지 매니폴드의 흡입통로 길이를 조절하여 엔진 성능을 각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흡기 매니폴드를 만드는 소재는 보통 알루미늄 또는 주철로 만들지만 최근 복합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 그리고 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