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BMW, 푸조, 시트로엥, 미쓰비시, 벤츠, 마세라티 등 리콜

320i, 750Li, 520D, 308 2.0 Blue-HDi, Grand C4, RVR, E220, ML350 BT 4M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비엠더블유코리아(), 한불모터스(), 미쓰비시자동차공업(),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에프엠케이, 다임러트럭코리아(), ()스포츠모터사이클코리아에서 제작·수입·판매한 승용·화물·이륜자동차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되어 리콜 한다고 밝혔다.

비엠더블유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320i 17개 차종 승용자동차는 다음과 같이 제작결함이 발견되었으며, 해당 자동차 소유자는 2017217일부터 비엠더블유코리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해당 부품 점검 후 교체 등)를 받을 수 있다.

(운전자석 에어백 결함) 에어백 내부에 장착되어 자동차 충돌시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해서 가스를 발생시키는 장치인 운전자석 에어백 인플레이터가 수리 시 결함이 있는 부품(일본 다카타부품)으로 교체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결함이 있는 부품으로 교체되었을 경우, 에어백 전개시 과도한 폭발압력으로 발생한 내부 부품의 금속 파편이 운전자 등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리콜대상은 200068일부터 2003130일까지 제작된 320i 13개 차종 승용자동차 1,357대이다.


(프로펠러 샤프트 결함) 후방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 리벳의 제작결함으로 파손될 경우 동력 전달이 원활하지 않아 가속이 제대로 안되어 안전 운행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리콜대상은 201131일부터 2011427일까지 제작된 750Li xDrive 승용자동차 31대이다.


(중앙 에어백 센서 프로그래밍 오류) 중앙 에어백 센서(차체 중간에 위치)의 프로그래밍 오류로 인하여 에어백이 전개되어야 할 조건에서 전방 에어백(운전석과 동승자석)과 좌석안전띠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으로 일부차종에 대하여 지난 2016129일부터 리콜을 개시하였으나 해당 제작사의 자체조사 결과, 문제가 된 중앙에어백센서가 장착된 차량이 추가 확인되어 리콜 대상을 확대하게 되었으며, 이번에 확대된 리콜대상은 2009911일부터 201181일까지 제작된 520d 3개 차종 승용자동차 7대이다.


한불모터스()에서 수입·판매한 푸조 308 2.0 Blue-HDi, 시트로엥 Grand C4 Picasso 2.0 Blue-HDi 4개 차종 승용자동차는 저압연료파이프의 압력온도 센서 고정 핀이 정확하게 고정되지 않아 연료가 누유되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리콜대상은 20131112일부터 2015120일까지 제작된 푸조 308 2.0 Blue-HDi, 시트로엥 Grand C4 Picasso 2.0 Blue-HDi 4개 차종 승용자동차 883대이며, 해당 자동차 소유자는 2017215일부터 한불모터스()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해당부품 점검 후 교체)를 받을 수 있다.


미쓰비시자동차공업()에서 수입·판매한 미쓰비시 RVR 승용자동차는 테일게이트 지지대 부식으로 인하여 지지대가 손상될 경우, 테일게이트가 내려앉아 차량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부상을 입힐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리콜대상은 201229일부터 2012518일까지 제작된 미쓰비시 RVR 승용자동차 143대이며, 해당 자동차 소유자는 2017215일부터 미쓰비시자동차공업()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해당 부품 교체)를 받을 수 있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E 220 BLUETEC 5개 차종 승용자동차는 전자식 조향장치 컨트롤 유닛 내부에 위치한 전기회로의 접점불량으로 조향 보조장치가 정상 작동하지 않아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리콜대상은 2015130일부터 2015323일까지 제작된 E 220 BLUETEC 5개차종 승용자동차 20대이며, 해당 자동차 소유자는 2017224일부터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해당 부품 교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ML 350 BT 4M 승용자동차는 차축과 바닥프레임을 연결하는 볼트(액슬 서브프레임 볼트)의 조립불량으로 체결이 풀릴 경우 운전자 의도대로 조향되지 않아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리콜대상은 2014106일 제작된 ML 350 BT 4M 승용자동차 1대이며, 해당 자동차 소유자는 2017217일부터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해당 부품 교체)를 받을 수 있다.

()에프엠케이에서 수입·판매한 마세라티 르반떼 Sport 2개 차종 승용자동차는 조수석 커튼 에어백 인플레이터(오토리브 )의 제조불량으로 충돌 시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리콜대상은 20161013일부터 20161111일까지 제작된 마세라티 르반떼 Sport 2개 차종 승용자동차 3대며, 해당 자동차 소유자는 2017215일부터 ()에프엠케이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해당 부품 교체)를 받을 수 있다.


다임러트럭 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악트로스 화물자동차는 구동차축의 조립불량으로 프로펠러샤프트가 차량에서 분리되어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리콜대상은 201335일부터 2014925일까지 제작된 악트로스 화물자동차 252대며, 해당 자동차 소유자는 2017215일부터 다임러트럭 코리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구동차축 각도조정, 프로펠러 샤프트 교환)를 받을 수 있다.

()스포츠모터사이클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KTM 690 DUKE 2개 차종 이륜자동차는 차체와 브레이크 시스템 관련 배선의 간섭으로 피복이 벗겨질 경우 전기회로가 단락되어 브레이크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리콜대상은 2011928일부터 201663일까지 제작된 KTM 690 DUKE 2개 차종 이륜자동차 24대이며 해당 자동차 소유자는 2017215일부터 ()스포츠모터사이클코리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해당 배선 점검 후 조정 등)를 받을 수 있다.

이번 리콜과 관련하여 해당 제작사에서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으로 시정방법 등을 알리게 되며, 리콜 시행 전에 자동차 소유자가 결함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에는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기타 궁금한 사항은 비엠더블유코리아()(080-269-2200), 한불모터스()(02-3408-1654), 미쓰비시자동차공업()(02-523-9720),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080-001-1886), ()에프엠케이(1600-0036), 다임러트럭코리아(),(080-001-1886), ()스포츠모터사이클코리아(02-790-0999)로 문의하면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기자수첩] 자동차의 배터리 관계는?

배터리와 제너레이터의 용량이 자동차의 성능을 좌우한다 ?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배터리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고 있다 . 그래서 과연 자동차에서 배터리와 성능의 관계는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아보았다 . 자동차는 기계적 시스템 , 전기장치 , 신호 제어기술 등이 결합하여 연료와 공기의 제어를 통하여 발생하는 에너지를 바탕으로 엔진을 구동하게 된다 . 그래서 가솔린 차량의 경우 엔진과 연료에 문제가 없어도 전기적인 문제가 있으면 연료공급과 연소작용에 문제가 발생하여 자동차는 움직이지 못한다 .   먼저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자동차에서 배터리와 연비 및 출력이 무슨 관계가 있는지 잘 모른다 . 그래서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어도 완전히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았을 때에만 겨우 배터리를 교환하게 된다 . 그러나 배터리의 용량이 감소하면 지속적으로 충전하기 위해 제너레이터는 부하가 끊임없이 걸린다 . 이로 인해 결국은 자동차의 출력저하와 연비저하가 생기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 .   배터리는 보통 12V/50Ah 라는 형식의 규격으로 표시되는데 여기서 기본은 V( 볼트 ) 와 A( 암페어 ) 수치이다 . 특히 배터리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A( 암페어 ) 수치를 점검하는 것이다 . 그러나 보통 내차는 12V 가 나오는데 왜 배터리를 교환해야하는가 ? 라는 질문을 던진다 .   그 이유는 A( 암페어 ) 는 전류를 저장 할 수 있는 그릇의 크기다 . 배터리를 사용 할수록 전류를 저장 할 수 있는 그릇의 크기가 점차 줄어든다는 점이다 . 크기가 줄어든 만큼 제너레이터에 부하가 걸린다는 것이다 .   배터리 용량 표기는 V/Ah 로 하고 , 제너레이터 용량은 V/A 로 표기 한다 . 배터리 용량과 제너레이터 용량은 별개의 것이다 . 배터리 상단을 살펴보면 12V 50Ah(20HR) 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배터리에 12V 50A 의 전기...

[휠얼라인먼트 실전기술]- 주행 중 충격

휠얼라인먼트 고장원인 될 수 있다. 큰 충격이 자동차 바퀴에 가해져도 운전자는 그 충격 못 느낄 때가 많다. 자동차는 쇽 업소버와 스프링이 있어 노면으로부터 오는 충격은 여기서 흡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노면의 충격은 경우에 따라서, 정밀한 파워 스티어링의 내부나 복잡한 현가장치에 중대한 고장을 일으킬 때도 있다. 일반적으로 바퀴가 도로의 연석에 충돌하거나 도랑에 빠지고 난후 핸들의 센터가 변하거나 핸들이 쏠리는 이상이 발생할 때가 있다. 이런 경우 전문가에게 상담하여 현가나 주행 장치의 점검과 휠바란스나 휠 얼라인먼트의 점검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고장의 한 예로 연석에 부딪친 다음에 상태가 나빠진 자동차의 휠 얼라인먼트의 조정을 참고해 본다. 고속도로의 톨게이트에서 사소한 부주의로 오른쪽으로 접근하여 오른쪽 앞바퀴를 연석의 콘크리트에 부딪치게 되었다. 문제가 있다 생각이 되어 톨게이트를 빠져 나와 점검해 보았으나 휠에 상처가 난 정도였다. 이 정도라면 별 것 없다는 생각으로 5㎞ 정도 운전해 보고 묘한 것을 느끼게 되었다. 핸들에서 손을 놓으니까 약 50㎜ 정도 왼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핸들이 고정되어 그 위치에서 전진한다. 50㎜ 정도 왼쪽으로 기울어진 위치이므로 결과로서 자동차 전체가 왼쪽으로 흘러가기 때문에 항상 핸들을 오른쪽으로 틀면서 운전을 하므로 매우 피곤하다. 또 하나의 사례로 아침에만 핸들의 조작에 불안하다. 엔진이 냉각되어 있는 동안에는 오른쪽으로 핸들을 돌리며, 끌리는 기분이며 핸들이 무겁다는 것이다. 전에는 이 같은 증상이 없었기 때문에 불안하므로 점검해 달라는 것이었다. 고객과 기능 불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노상 시험을 해보았다. 엔진은 이미 뜨거워져 있으며 핸들의 조작에 관해서는 고객이 말하는 것과 같은 기능 불량은 없는 것 같은데 핸들이 왼쪽으로 쏠리는 것은 지적한 그대로였다. 시험을 위해 왼쪽 기울기의 도로...

[집중 분석] 자동차 흡기튜닝 Ⅵ

써지탱크 및 흡기매니폴드의 역할 이해   지난번에는 드로틀 바디의 튜닝과 관련하여 반드시 체크해야 할 기본적인 사항을 살펴봤다 . 이번에는 써지탱크와 흡기매니폴드의 기능과 튜닝 시 필요한 기초적인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자 .   서지 탱크 (Surge tank) 는 드로틀 바디를 지나 유입되는 공기를 1 차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이다 . 또한 흡입계통에서 대기로부터 실린더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발생하는 진공을 생성 및 저장하는 곳이다 . 서지탱크에 생성된 진공에 의해 차량의 여러 부품들이 작동이 된다 . 때문에 튜닝 시 엔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서지탱크의 기초적 튜닝은 내부를 포팅해서 공기흐름만 원활하게 하여도 충분하다 . 왜냐하면 출력에 비해 지나치게 큰 서지탱크는 진공도가 떨어져서 응답성에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 그리고 작은 서지탱크는 진공용량의 부족으로 전체 출력 저하와 부품들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   흡기 매니폴드 (intake manifold) 는 서지탱크에서 대기 중인 흡입공기를 각 실린더에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 여기서 중한 점은 흡입 공기의 저항을 줄여 각 실린더에 고른 분배 및 유도하는 것이다 . 흡기매니폴드는 형상이나 길이 내경 등에 의해 엔진의 성격이 달라진다 . 흡기매니폴드가 짧으면 고 RPM, 길면 저 RPM 에서 토크가 최상의 성능을 나타낸다 . 양산차의 매니폴드 길이는 중저속부터 토크가 발휘되도록 셋팅되어 있다 . 최근에는 가변흡기매니폴드 (Variable intake manifold) 를 장착한 차량이 출시되고 있다 . 이것은 중속과 고속영역까지 매니폴드의 흡입통로 길이를 조절하여 엔진 성능을 각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흡기 매니폴드를 만드는 소재는 보통 알루미늄 또는 주철로 만들지만 최근 복합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 그리고 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