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18년 5월 국내 자동차 5社 판매 실적

쉐보레 내수시장 회복 징조, 현대·기아·쌍용 판매량 증가, 삼성 감소

국내차 생산 5는 지난 5월 내수 133600, 수출 569629대를 판매해 총 703229대를 판매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월대비 현대 5.7%·기아 9%·쌍용 4.8% 증가했고, 한국 GM 15.1%·삼성 21.5% 각각 감소했다.

현대차는 올해 5월 내수는 전년동기대비 2.1% 증가한 61896,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6.4% 증가한 325121대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한 총 387017대를 판매했다.

내수시장에서 그랜저(하이브리드 2521대 포함)1436대 판매되며 국내 시장 판매를 주도했고, 이어 아반떼가 6565, 쏘나타(하이브리드 351대 포함)5542대 등 총 24323대가 팔렸다. 특히, 그랜저가 2개월만에 다시 월 1만대 판매했으며, 그랜저 하이브리드(HEV) 모델의 판매 호조가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RV는 싼타페(구형 모델 296대 포함) 1668, 코나(EV모델 304대 포함) 3741, 투싼 2966, 맥스크루즈 140대 등 총 17577대 판매를 기록했다. 특히 싼타페는 지난 3월에 이어 3개월 연속 최다 판매를 기록했다.

상용차는 그랜드 스타렉스와 포터를 합한 소형 상용차가 총 12377대 팔렸고, 중대형 버스와 트럭을 합한 대형 상용차는 2840대가 팔렸다.

해외시장 판매는 본격적인 코나의 수출과 중국 시장에서의 판매 반등, 브라질과 러시아 시장에서의 판매 호조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전체적으로 증가했다.

기아차는 4월에 이어 5월에도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지난 달 국내서 47046, 해외 20130대 등 세계 시장에 총 247176대를 판매했다.

내수는 신형 K9K3 등 신 모델을 앞세워 전년 대비 8.1% 늘었고 수출도 전년 대비 9.2% 증가하는 등 국내외 모두 큰 폭의 판매증가를 기록해 글로벌 전체 판매는 9% 증가했다. 지난 49.6% 증가에 이어 지난달에도 9% 증가로 두 달 연속 10%에 가까운 판매 증가를 기록하며 꾸준한 플러스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출시된 신형 K9K3가 승용 모델의 판매를 이끌었고 최근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상품성을 크게 높인 카니발이 선전하며 4월에 이어 두 달 연속 높은 판매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K9은 좋은 반응을 얻으며 1705대가 판매돼 20126월 이후 역대 최다 월간판매를 기록했다.

RV 시장에서는 지난달 출시된 카니발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전년 대비 29.9% 증가한 8002대 판매됐으며, 쏘렌토도 5559대로 꾸준한 판매량을 기록했다.

기아차의 5월 수출은 전년 대비 9.2% 증가한 20130대로 월간 해외판매가 20만대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 11207973대를 기록한 이후 6개월만이다. 지역별로는 중국을 비롯해 러시아, 중남미, 아시아태평양 지역 등 신흥 시장에서도 고른 판매 성장을 기록했다.

쌍용차는 지난 5월 내수 9709, 수출 3229대를 포함 총 12938대를 판매했다. 이러한 실적은 렉스턴 브랜드 호조세로 내수·수출 모두 증가해 전체적으로도 전년 동월 대비 4.8% 증가한 올해 월 최대 실적이다.

내수 판매에서는 렉스턴 스포츠가 동일 차급 기준 20034월 무쏘스포츠 이후 역대 최대 월 판매실적을 넘어서는 신기록을 달성하며 월 최대 실적 달성을 주도했다. 특히 렉스턴 스포츠는 주간연속 2교대 시행에 따른 공급 물량 확대로 3944대가 판매되는 등 전년 동월 대비 130%, 전월 대비 30%가 넘는 증가율을 기록하며 내수 성장세를 이끌었다.

수출 역시 지난 2월 이후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기존 티볼리 브랜드와 함께 렉스턴 브랜드의 신규 수출 물량이 점차 늘며 전년 동월 대비 53% 증가하는 등 지속적인 회복세를 나타냈다. 또한, 인도 시장 진출을 위한 G4 렉스턴 CKD(Complete Knock Down) 물량의 첫 선적에 이어 본격적인 선적이 하반기부터 이뤄질 예정으로 하반기 수출 회복세도 더욱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GM은 지난 달 내수 7670, 수출 33209대를 포함 총 4879대를 판매했다. 특히 내수시장에서 4월 보다 2000여대가 더 판매되며 가파른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쉐보레 스파크, 말리부, 트랙스 등 주력 모델이 전월 대비 각각 16.2%, 81.3%, 98.1% 증가하며 내수 실적을 견인했다. 더욱이 볼트 EV는 도입 물량 확보에 힘입어 1014대가 판매되며 전기차에 대한 인기를 다시 한 번 확인했다.

르노삼성차는 지난 달 내수는 전년 동월보다 20.4% 감소한 7342, 수출은 전년보다 22.5%가 줄어든 8759대로 전년동기 대비 21.5% 감소한 총 16101대를 판매했다. 판매 감소는 지난달 31일 예정된 수출 차량 선적 지연 영향이다.

내수에서 QM6는 전년보다 4.8% 늘어난 2313, QM3는 전달보다 8.9%가 늘어난 562대를 판매했다. SM62022, SM5 833대를 판매 했으며, 지난달 중순부터 수입 판매하는 르노 클리오는 2주만에 계약물량 중 756대가 출고됐다.

수출은 전월보다 45.9%가 줄어듦에도 불구하고 5월까지 올해 누적 수출은 7297대로 전년동기보다 7.8%가 늘어 국내 완성차 중 가장 건실한 수출 호실적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기자수첩] 자동차의 배터리 관계는?

배터리와 제너레이터의 용량이 자동차의 성능을 좌우한다 ?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배터리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고 있다 . 그래서 과연 자동차에서 배터리와 성능의 관계는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아보았다 . 자동차는 기계적 시스템 , 전기장치 , 신호 제어기술 등이 결합하여 연료와 공기의 제어를 통하여 발생하는 에너지를 바탕으로 엔진을 구동하게 된다 . 그래서 가솔린 차량의 경우 엔진과 연료에 문제가 없어도 전기적인 문제가 있으면 연료공급과 연소작용에 문제가 발생하여 자동차는 움직이지 못한다 .   먼저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자동차에서 배터리와 연비 및 출력이 무슨 관계가 있는지 잘 모른다 . 그래서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어도 완전히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았을 때에만 겨우 배터리를 교환하게 된다 . 그러나 배터리의 용량이 감소하면 지속적으로 충전하기 위해 제너레이터는 부하가 끊임없이 걸린다 . 이로 인해 결국은 자동차의 출력저하와 연비저하가 생기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 .   배터리는 보통 12V/50Ah 라는 형식의 규격으로 표시되는데 여기서 기본은 V( 볼트 ) 와 A( 암페어 ) 수치이다 . 특히 배터리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A( 암페어 ) 수치를 점검하는 것이다 . 그러나 보통 내차는 12V 가 나오는데 왜 배터리를 교환해야하는가 ? 라는 질문을 던진다 .   그 이유는 A( 암페어 ) 는 전류를 저장 할 수 있는 그릇의 크기다 . 배터리를 사용 할수록 전류를 저장 할 수 있는 그릇의 크기가 점차 줄어든다는 점이다 . 크기가 줄어든 만큼 제너레이터에 부하가 걸린다는 것이다 .   배터리 용량 표기는 V/Ah 로 하고 , 제너레이터 용량은 V/A 로 표기 한다 . 배터리 용량과 제너레이터 용량은 별개의 것이다 . 배터리 상단을 살펴보면 12V 50Ah(20HR) 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배터리에 12V 50A 의 전기...

[휠얼라인먼트 실전기술]- 주행 중 충격

휠얼라인먼트 고장원인 될 수 있다. 큰 충격이 자동차 바퀴에 가해져도 운전자는 그 충격 못 느낄 때가 많다. 자동차는 쇽 업소버와 스프링이 있어 노면으로부터 오는 충격은 여기서 흡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노면의 충격은 경우에 따라서, 정밀한 파워 스티어링의 내부나 복잡한 현가장치에 중대한 고장을 일으킬 때도 있다. 일반적으로 바퀴가 도로의 연석에 충돌하거나 도랑에 빠지고 난후 핸들의 센터가 변하거나 핸들이 쏠리는 이상이 발생할 때가 있다. 이런 경우 전문가에게 상담하여 현가나 주행 장치의 점검과 휠바란스나 휠 얼라인먼트의 점검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고장의 한 예로 연석에 부딪친 다음에 상태가 나빠진 자동차의 휠 얼라인먼트의 조정을 참고해 본다. 고속도로의 톨게이트에서 사소한 부주의로 오른쪽으로 접근하여 오른쪽 앞바퀴를 연석의 콘크리트에 부딪치게 되었다. 문제가 있다 생각이 되어 톨게이트를 빠져 나와 점검해 보았으나 휠에 상처가 난 정도였다. 이 정도라면 별 것 없다는 생각으로 5㎞ 정도 운전해 보고 묘한 것을 느끼게 되었다. 핸들에서 손을 놓으니까 약 50㎜ 정도 왼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핸들이 고정되어 그 위치에서 전진한다. 50㎜ 정도 왼쪽으로 기울어진 위치이므로 결과로서 자동차 전체가 왼쪽으로 흘러가기 때문에 항상 핸들을 오른쪽으로 틀면서 운전을 하므로 매우 피곤하다. 또 하나의 사례로 아침에만 핸들의 조작에 불안하다. 엔진이 냉각되어 있는 동안에는 오른쪽으로 핸들을 돌리며, 끌리는 기분이며 핸들이 무겁다는 것이다. 전에는 이 같은 증상이 없었기 때문에 불안하므로 점검해 달라는 것이었다. 고객과 기능 불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노상 시험을 해보았다. 엔진은 이미 뜨거워져 있으며 핸들의 조작에 관해서는 고객이 말하는 것과 같은 기능 불량은 없는 것 같은데 핸들이 왼쪽으로 쏠리는 것은 지적한 그대로였다. 시험을 위해 왼쪽 기울기의 도로...

[집중 분석] 자동차 흡기튜닝 Ⅵ

써지탱크 및 흡기매니폴드의 역할 이해   지난번에는 드로틀 바디의 튜닝과 관련하여 반드시 체크해야 할 기본적인 사항을 살펴봤다 . 이번에는 써지탱크와 흡기매니폴드의 기능과 튜닝 시 필요한 기초적인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자 .   서지 탱크 (Surge tank) 는 드로틀 바디를 지나 유입되는 공기를 1 차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이다 . 또한 흡입계통에서 대기로부터 실린더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발생하는 진공을 생성 및 저장하는 곳이다 . 서지탱크에 생성된 진공에 의해 차량의 여러 부품들이 작동이 된다 . 때문에 튜닝 시 엔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서지탱크의 기초적 튜닝은 내부를 포팅해서 공기흐름만 원활하게 하여도 충분하다 . 왜냐하면 출력에 비해 지나치게 큰 서지탱크는 진공도가 떨어져서 응답성에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 그리고 작은 서지탱크는 진공용량의 부족으로 전체 출력 저하와 부품들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   흡기 매니폴드 (intake manifold) 는 서지탱크에서 대기 중인 흡입공기를 각 실린더에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 여기서 중한 점은 흡입 공기의 저항을 줄여 각 실린더에 고른 분배 및 유도하는 것이다 . 흡기매니폴드는 형상이나 길이 내경 등에 의해 엔진의 성격이 달라진다 . 흡기매니폴드가 짧으면 고 RPM, 길면 저 RPM 에서 토크가 최상의 성능을 나타낸다 . 양산차의 매니폴드 길이는 중저속부터 토크가 발휘되도록 셋팅되어 있다 . 최근에는 가변흡기매니폴드 (Variable intake manifold) 를 장착한 차량이 출시되고 있다 . 이것은 중속과 고속영역까지 매니폴드의 흡입통로 길이를 조절하여 엔진 성능을 각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흡기 매니폴드를 만드는 소재는 보통 알루미늄 또는 주철로 만들지만 최근 복합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 그리고 흡기...